공황장애 증상 치료와 극복방법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경제적으로 어렵고 사회적으로는 고립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코로나 블루’와 같은 정신건강 이슈가 하나의 사회문제로 부상했다.
이로 인해 공황장애와 같은 정신과 질환이 심해지는 경우도 늘고 있다.
특히 공황장애는 매년 환자 수가 증가하는 정신과 질환 중 하나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의하면 2010년 5만 명에서 2015년 10만 명, 2017년에는 14만 4000명으로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공황장애는 정신과 질환에 대한 편견이나 치료에 대한 거부감 때문에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기 때문에 질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인지하고 있는 것이 좋다.
공황장애 증상, 공황장애란?
공황장애란 갑자기 극도의 두려움과 불안을 느끼는 불안 장애의 일종이다.
환자들은 심한 불안과 초조감, 죽을 것 같은 공포를 느끼고, 이와 함께 가슴 뜀, 호흡 곤란, 흉통이나 가슴 답답함, 어지러움, 손발 저림, 열감 등의 다양한 신체 증상을 경험한다.
공황장애 증상과 원인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공황 장애는 생물학적(신체적인) 원인, 외부적인 스트레스, 개인적인 인생 경험, 특히 유년기의 초기 경험과 이에 따른 인격의 발달이 함께 작용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유전적인 요인과 인지적인 요인도 영향을 준다.
공황장애 원인으로는 학업 또는 회사생활로 인한 스트레스, 가정생활 환경, 경제적 상황, 가족과의 관계 등 여러 요인들이 작용할 수 있다.
공황장애 치료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들 원인을 찾아 분석하고,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공황장애 증상 및 자가진단
1. 죽을것 같은 느낌이 듬.
2. 현기증,머리띵함,또는 어지럼 등
3. 숨이 가쁘고 숨막히는 느낌
4. 토할 것 같거나 속이 불편함.
5. 심장이 두근거리고 맥박이 빨라짐.
6. 질식감
7. 오한이 나고 얼굴이 화끈거림.
8. 땀이 갑작스럽게 많이 남.
9. 자제력 상실, 두려움
10. 몸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따끔거림.
11. 가슴이 아프고 답답함.
12. 몸이 떨리거나 전율느낌,
13. 주위가 비현실적, 자신에서 분리된 느낌.
공황장애 증상,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극복방법
1. 호흡곤란 유발하는 담배 피하기
2. 커피,홍차,콜라 같은 고 카페인 식품 멀리하기
3. 두통,구역감을 유발하는 술 자제하기
4. 신경전달 물질 배출돕는 생선,견과류,통곡물 섭취하기
5. 항산화 물질 많은 베리류와 시금치, 브로콜리 먹기
6. 밀폐된 공간에서 호흡법,이완법을 한다.
7. 외부로 나갈수 있는 상황이라면 실외에서 바람을 느끼며 깊게 심호흡을 한다.
공황장애를 겪고 계신 분들은 알겠지만, 증상이 심할때는 자신의 의지로 극복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공황장애를 극복하기에는 주변 사람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행복하고 안정적인 일상을 위해 모두 극복하자.
공황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에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가 있다.
약물치료를 할 때는 항우울제(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저해제)나 항불안제(벤조다이아제핀 계열)를 주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계열의 약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인지행동치료는 정신과 치료의 일종으로 공황장애 치료에 효과적이며, 대개 개인보다는 집단을 대상으로 많이 시행하는데 환자들의 공황 발작에 대한 그릇된 이해를 교정하는 교육이 필수다.
약물치료는 증상이 호전돼도 재발 방지를 위해 8~12개월 동안 치료를 유지한다. 항우울제는 치료효과가 비교적 오래 유지되고 습관성이 적다.
하지만 불면, 흥분, 신경과민, 구역, 허약감, 어지러움, 성기능장애, 발한, 식욕감퇴가 나타날 수 있다.
항우울제의 대표 성분인 ‘플루옥세틴’은 다른 약제보다 불안, 불면, 식욕감퇴가 흔하게 나타나며, ‘파록세틴’은 입마름, ‘설트랄린’은 설사 등의 소화기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항불안제는 항우울제에 비해 치료효과가 빨라 불안감을 빠르게 감소시키지만 지속시간이 수 시간 정도로 짧고 오랫동안 사용할 경우 약물에 대한 내성이 생길 수 있으며 약물을 중단했을 때 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인 성분으로 ‘알프라졸람’과 ‘클로나제팜’이 있으며, 과도한 경계심을 줄여주고 근육 긴장과 같은 신체적 증상을 없애주어 불안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다.
약물치료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신과 전문의의 진료와 처방에 따라 시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환자가 임의대로 약을 복용하거나 중단하면 치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오히려 불안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다.